보도자료 예쁘게 쓰는 14가지 방법

보도자료는 일반인들이 범접하기에 어려운 굉장히 공적인 문서라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꼭 그렇진 않습니다. 조금만 관심을 갖고 연습하면 누구나 잘 쓸 수 있습니다. 별도의 PR담당 부서가 없는 고독한 마케팅 담당자라면, 선택 아닌 필수로 보도자료를 작성해야 할 순간이 다가오는데, 그럴 때 참고하세요.

일기 쓰기로 창의력에 불지르는 방법

창의력은 타고나는 능력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경험상 창의력은 노력에 의해 길러지거나 보완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방법이 ‘일기 쓰기’를 통해서인데요. 이걸 실천으로 옮겨 세계 최고의 자리에 오른 배상민 교수의 일화를 소개해드립니다.

브랜드 소개 엄청 쉽게 쓰는 방법

브랜드_소개_쓰는_방법_연필

쉽지만 막상 쓰기 어려운 브랜드 소개. 정해진 길도, 정해진 답도 없어 더 어렵습니다. 비슷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잘 들어오셨어요. 이 글에는 아주 간결하면서 빈틈없는 브랜드 소개 작성 공식이 담겨 있습니다. 우선 이 5가지를 정리해 봅시다.

돈을 부르는 사업계획서 작성 비밀 5가지

많은 피드백을 받았지만 추리고 추려 5가지로 정리해드립니다. 사업계획서를 작성 중이라면, 특히 예비 창업 단계에서 정부 지원사업이나 스타트업 엑셀러레이터 신청을 앞두고 있다면 아래 5가지를 통해 심사위원의 마음을 미리 엿볼 수 있길 바랍니다.

커리어에 도움되는 딴짓 모음 3가지

결국 어떤 일이든 데드라인은 맞추긴 맞춥니다. 하지만 과거를 되집어 보면 결과물이 생각만큼 나오지 않아 마음이 쓰이는 경우가 한, 두번이 아니었는데요. 결국 우리는 로봇이 아니기에 잠깐 잠깐 딴짓, 다시 말해 쉬어가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KPI 설정만큼 중요한 ‘CSF'(핵심성공요인)에 대하여

핵심성공요인 CSF는 기업 경쟁력 향상을 위한 핵심 내부역량이며, 목표 달성을 위해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필수 요소입니다. “핵심성공요인”의 개념은 1960년대에 매킨지 컨설팅사의 D. Ronald Daniel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 이후, 80년대 말 슬론 경영대학의 John F. Rockart에 의해 잘 다듬어지고 인기를 끌게 되었는데요. John F. Rockart는 최고 경영자의 정보 요구를 이해하기 위한 수단으로 CSF를 다듬기 시작했습니다.

콘텐츠 마케팅과 전통적 마케팅의 차이 10가지

콘텐츠마케팅_전통적마케팅_차이_10가지_브랜코스

마케팅 효율이 나지 않아 고민이라면, 성과는 나오는데 투입 비용이 부담스럽다면, 아마 여러분은 고도화된 ‘Market 5.0’ 시대에 전통적 마케팅 방식을 고수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다면 이 글의 아래 10가지 항목을 살펴보세요.

맞춤법 검사기도 헷갈리는 맞춤법 32가지

마케팅은 맞춤법에 엄격해야 합니다. 내가 쓴 모든 것들이 브랜드의 말과 행동을 대변하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사람인지라 실수할 때가 있습니다. 그 실수를 최소화하고 생활 속 헷갈리거나 자주 혼용되는 맞춤법 32가지를 정리해드립니다.

1분만에 좋은 목소리 만드는 방법

생각보다 많은 경영자들이 목소리에 많은 컴플렉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컴플렉스가 없더라도, 더 나은 스피치 방법에 관심도 꽤 많은 편이고요. 과거 스피치 학원에서 배운 경험을 살려, 실무에서 유용한 팁 3가지 정리해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