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드 먼저? 마케팅 먼저? 사실은 말이죠,

이 질문은 이렇게 묻는 것과 다르지 않습니다. “숨 쉬기가 먼저인가요, 심장 뛰기가 먼저인가요?” 둘 중 하나만 선택하라는 질문 자체에 함정이 있는 거예요. 그런데 여전히 많은 분들께서 이 함정에 빠져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브랜코스가 책임 단위로 일하는 이유

제가 강조하는 ‘책임’ 단위로 일한다는 건 간단히 말해, “내가 맡은 일의 처음부터 끝까지, 그 결과에 대해 온전히 책임진다”는 뜻입니다. 출근 시간과 퇴근 시간 사이에 몸을 묶어두는 것이 아니라, 명확한 목표와 기대 결과를 설정하고..

브랜딩이란, 관념으로 개념을 만드는 일

브랜딩-관념-개념-연결

딸 아이가 크면서 대화 깊이도 남달라졌습니다. 얼마 전에는 학교에서 새로 알게 된 사실을 얘기해줬는데요. 역사랑 철학 관련 내용이었습니다. 약간의 꼰대력을 발산하며 반론을 펼치고 ‘개념’과 ‘관념’에 대해서 설명해 주었습니다.

2025년, 다시 펼쳐야 할 책 ‘인간관계론’

인간관계론-마케팅-공부-브랜딩-공부

인간관계론을 다시 펼쳤습니다. 그 어느 때보다 ‘사람’이 중요해지고 있다고 생각하거든요. 그래서 요즘 사람 공부에 많은 시간을 씁니다. 사람 공부가 바로 마케팅 공부, 브랜딩 공부니까요. 방점은 ‘관계’ 맺기입니다.

실패가 두려워 시작을 망설이는 당신에게

실패-도전-성공-시작

실패 가 두려워서 시작도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말이 있죠.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사실 그냥 좋은 말이 아닙니다. 기시미 이치로의 책 제목이에요.

브랜드 진정성에 대한 소소한 의견

브랜드-진정성-개념-의견

우리는 어떤 대상에게 ‘진정성’을 느꼈을 때 강렬한 인상을 받게 됩니다. 그래서 ‘진정성’이라는 건 브랜드에게 고객과의 연결고리를 만드는 강력한 무기가 되죠. 여기서 중요한 건 진정성이 ‘느껴지는’ 개념이라는 점입니다.

검색엔진 최적화(SEO) 효과 200% 높이는 방법

검색엔진-최적화-상향-방법

애정하는 고객사의 검색엔진 최적화(SEO) 관련 보고, 회의가 있었습니다. 정말 검색엔진 최적화 분야는 깊이 파고 들수록 끝이 없는 영역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이야기를 한참 나누다 보니, 기술적인 대화에 몰입될 수밖에 없었죠.

돈(money)을 대하는 어른스러운 자세

money-think

가끔 어떻게 하면 더 많이, 빨리, 쉽게 매출을 올릴 수 있을지 묻는 분들을 만납니다. 이렇게 모든지 과정을 생각하기 전에 이렇게 결과부터 쫓으려는 분들이 의외로 많은데요. 개인적으로 이런 습성(?)은 ‘ 돈 ‘에 대한 그릇된 배움에서 비롯됐다고 생각합니다.

경영에서 ‘경’이 무슨 뜻이냐면,

경영-의미-조직-방향

최진석 교수(요즘은 새말 새몸짓 이사장님)의 ‘건너가는 자’는 불교 경전 ‘반야심경’을 현대적으로 해석한 인문 철학서입니다. 이 책에서는 우리가 흔히 쓰는 ‘ 경영 ‘이라는 단어의 ‘경’자에 대해 흥미로운 해석을 내놓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