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상민 교수는 뉴욕에서 톱 제품 디자이너로 꼽힙니다. 세계 유명 디자인 어워드에서 상을 휩쓸고 다녔으며, 27살에는 능력을 인정받아 뉴욕 파슨스 디자인 대학 교수 역임했죠. 매번 창의적인 작품을 내놓는 그에게 사람들이 묻습니다. “어떻게 그렇게 항상 창의적일 수 있어요? 비결이라도…?” 그의 대답은 언제나 한결같습니다.
“창의적인 사람이 되고 싶다면
일기를 쓰세요.
제가 본 모든 창의적인 사람은
일기를 쓰거나 항상 메모하는
습관이 있습니다. 전부.”
(배상민 교수는 ‘일기’라는 표현보다 ‘저널 journal’라는 표현을 사용했습니다. 일기처럼 적는 느낌이 아니라, ‘끄적이는’ 정도의 느낌인데요. 쉬운 이해를 위해 용어는 모두 ‘일기’로 통일합니다)
What If 일기
다만 그가 말하는 일기는 ‘오늘 ~했다’식의 단순 일상 기록이 아닙니다. 그는 주변 모든 제품, 인테리어 등 디자인이 들어간 모든 것을 보며 ‘What If’를 생각하죠. “만일 내가 책임자라면 이것보다 어떻게 더 낫게 만들까?” 이를테면 카페에 있는, 아무도 문제 삼지 않는 평범한 의자를 보면서.
단 5분 동안 깊게 생각합니다. 그리고 아이디어가 떠올랐다면 일기장에 옮겨 적습니다. 만일 5분이 지나도 해결책을 발견하지 못하면 그때까지 생각만 적고 다이어리를 덮어 버립니다. 그만의 일기 원칙이기도 하죠. 그렇게 매일, 쌓인 일기장만 수 천권에 이릅니다.
일기로 시작되는 ‘창의성’
그렇다면 이러한 독특한 일기와 그의 창의성은 어떤 관계일까? 그는 세계 디자인 대회에서 수상한 작품 모두 그의 일기장에서 만들어졌다고 전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예는 바로 세계 최고 디자인 어워드, ‘레드닷 어워드’에서 대상을 수상한 ‘롤리폴리 화분’의 탄생비화입니다.
(배상민 교수) : 레드닷 어워드에 출품할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있을 때다. 도무지 번뜩이는 생각이 떠오르지 않아 그간 써오던 일기장 중 하나를 펼쳤다. 그리고 약 10년전 썼던 한 문장을 본다. ‘오늘 나의 애마가 죽었다’
애마는 그가 기르던 화분에 붙여준 이름입니다. 꽃집에서 화분을 샀는데 매번 적정량의 물을 주지 못해 번번히 죽었던 것. 그래서 이를 어떻게 해결할지 고민했지만 딱히 방법을 찾지 못해 그렇게만 적어뒀습니다.
하지만 그는 10년 후 이에 대한 해답을 찾습니다. 우연히 본 그 한 문장에서 이번 출품 아이디어를 얻은 것이죠. 5분도 걸리지 않아 작품을 구체화했습니다. 물이 부족하면 쓰러지고, 적정량의 물을 주면 다시 일어나는 오뚜기 같은 화분. 이름은 롤리-폴리 화분입니다. 아이디어가 나오기까지 이러한 생각의 과정이 있었습니다. 아래를 참고하세요.
“사람이 아프면 쓰러지잖아 “
↓
“그럼 화분도 물이 부족하면 쓰러지면 되겠네?”
↓
“쓰러졌다 일어나는게 뭐가 있지?”
↓
“오뚜기! 오뚜기랑 화분이랑 섞으면 되겠네?”
한 문장의 마법
‘유명하고 대단한 사람이니 그럴거야.’ 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한 문장만 보고 이렇게 기발한 생각까지 끄집어 냈으니까요. 물론 이렇게 생각을 확장해 나가는 능력이 탁월한 건 사실입니다. 하지만 그가 진정 강조하고 싶었던 건 바로 기록을 통한 ‘Trigger effect'(방아쇠 효과)였습니다.
트리거 효과란 어떤 현상이 일어나도록 촉발시킨다는 의미입니다. 즉 일기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떠오르게 하는 방아쇠 역할을 한다는 얘기. 그는 수 십년간 일기를 통해 ‘디자인적 문제 해결’을 고민해왔습니다. 반드시 언제 ‘해답을 찾기 위해서’가 아니었습니다. 그는 이렇게 말합니다. 우리의 머릿속에 일단 문제를 심어 놓으면 뇌는 무의식 중에 그 문제를 푼다고.
“아이디어는 방아쇠 효과와 같다. 한 순간에 나올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축적된 기록과 사고에 의해서 잊혀진 기억 속에서도 뇌에서는 계속 생각하고 있다가 순간 도출되는 것이다”
일단 쓰세요.
그가 말하는 창의성의 비밀이 점점 드러나고 있습니다. ‘문제 해결 중심의 일기’ 그리고 그렇게 축적된 ‘수많은 고민과 해결책들’. 어떤이는 눈 앞에 닥친 문제를 풀기 위해 그때부터 고민을 했다면, 본인은 1년, 10년 전부터 일기를 쓰면서 이미 그 문제를 고민하고 있었다는 것이죠. 번뜩이는 창의력 뒤에는 보이지 않는 든든한 기록들이 자리잡고 있었습니다.
과녁에 비유해서 생각해볼까요? 일반적으로는 과녁의 정중앙을 조준하고 총(아이디어)을 쏩니다. 반면, 그는 일단 총을 쏘고 그 위에 과녁을 살포시 올려두는 셈. 즉 아이디어가 필요할 때 지금껏 일기를 통해 머릿속에 쌓아둔 생각 중 그에 맞는 한가지를 꺼낼 뿐입니다. 바로 그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언제나 명중할 수 있었던 비결입니다.
단 5분, 창의성을 위한 일기!
그렇다면 이런 일기의 마법은 디자이너에게만 적용되는 얘기일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사람은 디자이너 뿐만 아니라. 마케터, 헤어 디자이너, 요리사 그리고 회사를 운영하는 CEO까지 그 누구에게도 예외가 없습니다. 집, 사무실 책장에 묵혀두던 다이어리가 있다면 다시금 뽑아 들고 근처 카페에 앉아보세요. 지금부터 속는 셈 치고 따라해 봅시다. 시간도 오래 쓸 필요 없습니다. 하루 딱, 5분이면 충분합니다.
〰️〰️〰️〰️〰️
written by 브랜코스